확대 l 축소

고양시, 행정안전부 ‘2024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서 최고 등급 ‘우수’ 선정

CCTV 설치·행주산성 관광 활성화·관광특구 빅데이터 분석 등에 데이터 활용
데이터 개방·공유 분야만점' 기록데이터기반행정 정착·활성화 노력 빛나

이동환 시장 "데이터 활용으로 시민 중심의 스마트 행정 구현 앞장

 

고양특례시가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한 ‘2024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기관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룩했다.

이는 고양특례시가 데이터 분석과 활용을 통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정책 수립과 행정을 추진해 온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다.

데이터기반행정이란 데이터를 수집·가공·분석하여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행정을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행정안전부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총 679개 기관을 대상으로 데이터기반행정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데이터 분석·활용, 공유데이터, 관리체계 등 3개 분야(10개 지표)에 대한 실태평가를 실시했다.

시는 이번 평가에서 CCTV 우선 설치 최적지 도출, 행주산성 관광 활성화 사업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및 상권 영향 분석, 고양관광특구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 기반 정책을 추진하며 우수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공동활용데이터 등록 이행률, 메타데이터 등록 및 관리 등 데이터 공유 분야에서는 만점을 기록하며 데이터 개방 및 활용에 있어 모범적인 사례를 보였다.

시는 CCTV 최적 설치 위치를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 도시의 안전망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행주산성 관광 활성화 사업에 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브랜드 이미지 개선 및 지역 상권 활성화를 도모했다.

관광특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방문객 동선 및 소비 패턴을 면밀히 살피고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실질적인 정책 효과를 거두고 있다.

시는 이번 평가 결과에 안주하지 않고, 올해에도 데이터 분석·활용 역량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분석·활용 확대 데이터 역량 강화 교육 중소기업 대상 빅데이터 분석·활용 지원 사업 등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확산으로 데이터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이 때, 시정 전반에 데이터기반 행정이 정착되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시가 지속적으로 노력한 결과 우수기관으로 선정되는 값진 결실을 맺었다"앞으로도 데이터기반행정,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고도화를 통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정책 수립과 의사결정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우수기관 선정은 고양특례시가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며 데이터 활용을 통해 시민 중심의 스마트 행정을 구현하는 데 앞장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로 평가된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데이터 활용 및 분석을 통해 고양특례시는 더욱 발전된 행정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손성숙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